코드 예시들은 실 사용 코드에서 관련된 내용들만 추려 간략화한 예시들입니다. 

 

특정 테이블 A가 있다고 했을 때 해당 테이블의 칼럼 C2를 group의 기준으로 행들을 뽑아내야했는데 이때 대표로 뽑아지는 행은 각 그룹의 칼럼 C1의 최대값을 가지고있는 행이어야했다. 이 결과값을 다시 C1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게 필요한 결과 값이었다.

 

먼저 생각한 로직은 해당 테이블의 행들을 칼럼 C1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하고 그 결과를 C2 칼럼으로 groupby를 한 후 그 결과를 다시 C1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해야되는 로직이었다. 

이를 querydsl로 아래와 같이 직관적으로 코드를 짰는데 짜고 실행해보니 제대로 값이 나오지 않았다.

        return jpaQueryFactory.selectFrom(A)
                .where(A.id.in(JPAExpressions.select(A.id)
                        .from(A)
                        .orderBy(A.C1.desc())
                        .groupBy(A.C2)
                ))
                .orderBy(A.C1.asc())
                .fetch();

이후에 orderby와 groupby를 같이 연달아쓰면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구글링을 하던 중 아래와 같은 쿼리를 발견했다.

select *
from(
    select *
    from(
        select *
        from A ud
        order by ud.C1 DESC
        LIMIT 18446744073709551615
        )as ordered
    group by ordered.C2 )as grouped
order by grouped.C1;

예전에 부트캠프에서 수업을 들을 때 프로젝트에서 위와 같이 limit를 활용해 orderby와 groupby를 썼던 기억이 있는데 그때와 같은 방법이었다. limit을 지우면 DBMS가 성능 향상을 위해 자동으로 orderby를 무시한다.

-> 성능에 안좋은 쿼리라는 말,,

 

문제는 그때는 작은 프로젝트라 LIMIT 18446744073709551615를 지정해도 상관없었지만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규모가 크고 실사용자들이 많이 들어온다. 게다가 해당 쿼리와 연관된 api가 앱 핵심 기능 사용에 있어 필수적인 아주 중요한 api였다.

A 테이블 역시 한 사용자당 데이터양이 끝없이 늘어날 수 있는 데이터의 규모가 테이블들 중 특히 더 사이즈가 큰 테이블이었다.

 

18446744073709551615라는 숫자가 충분히 큰 숫자인지, 내가 일을 하고 있을 동안엔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은데 해당 서비스가 과거를 돌이켜봤을 때 단순한게 몇 년동안 돌아가고 끝날 서비스가 아닌데 차후에라도 문제가 생긴다면 그건 돈을 받고 개발을 하는 입장에서 잘못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차후에 문제가 생기지않는다하더라도 제한이 없는 코드가 더 좋은 코드라는 생각이 들어 다시 구글링을 통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했다.

select A.*
from A inner join
(select max(ud.C1) as updateAt
from A ud
group by ud.C2
) b on A.C1 = b.updateAt
order by A.C1 ASC;

아마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로직자체가 약간 다르다

원래는 orderby를 한 후 그 결과를 groupby를 하려고했는데 max를 통해 그룹에서 필요한 값을 뽑아냈다.

이 방법이 훨씬 더 깔끔하고 좋은 코드라는 생각이 들었고 성능측면에서도 훨씬 더 좋은 코드인 것 같다.

다른 사람들 코드를 많이 보는 게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다..

 

위 쿼리는 JPQL을 활용해 프로젝트에 적용했다. 위 코드대로 하면 오류가 발생해서 네이티브쿼리로 처리하면 된다는 글을 발견해 네이티브 쿼리로 처리 후 정상 작동 확인했다.

    @Query(value=" select A.*\n" +
            "from A inner join\n" +
            "(select\n" +
            "max(ud.C1) as updateAt\n" +
            "from A ud\n" +
            "group by ud.C2\n" +
            ") b on A.C1 = b.updateAt\n" +
            "order by A.C1 ASC",nativeQuery = true)
    List<A> findLatestDevices(@Param("userIdx") Long userId);

 

참고사이트 

https://okky.kr/article/237434

https://simp1e.tistory.com/entry/MYSQL-order-by-%ED%9B%84%EC%97%90-group-%ED%95%98%EB%8A%94-%EB%B0%A9%EB%B2%95

https://mingggu.tistory.com/115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4136211/spring-boot-jpa-how-to-find-entity-with-max-value

https://jaenjoy.tistory.com/39

해당 에러로그의 원인을 결론부터 말하자면 필요한 key 값이 저장된 파일이 제대로 된 위치에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솔라피를 통해 고객들에게 문자를 보내는 유료 서비스를 사용 중이다.

배포 중인 서버에서는 정상 작동하는데 개발용으로 운영 중인 서버들에서 문자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고있다는 이슈를 전달받아 디버깅을 진행했다.

 

이전 개발자 분이 작성한 코드라 코드 분석과 함께 먼저 상황을 파악해보니 문자 전송이 되는 api를 스웨거로 실행해보면 api가 정상적으로 요청 성공했다는 response가 오고있지만 문자는 오고 있지 않았다.

 

배포 중인 서버와 문자가 오고 있지 않은 서버들의 코드또한 동일한 코드로 코드상으로 큰 특이점이 보이지 않았다.

코드에서 다른 점이 없다면 solapi내 설정이나 key 값과 같은 설정 값들에 문제가 있을 거라 생각하고 좀더 깊게 로그들과 설정 정보들을 뜯어볼 필요가 생겼다.

 

먼저, 솔라피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정보들을 확인해봤는데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었다.

 

다음으로, 관련 자료를 찾아보던 중 솔라피에서 제공해주는 java 예시 코드들 깃헙을 발견했고 해당 레포에서 아래 링크의 문자 전송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코드를 발견했다. 

https://github.com/solapi/solapi-java/blob/main/app/src/main/java/solapi/app/SendJsonLMS.java

 

GitHub - solapi/solapi-java: SOLAPI SDK for Java

SOLAPI SDK for Java. Contribute to solapi/solapi-jav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의 코드를 참고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넣어 디버깅을 해보고자 시도했다.

                    System.out.println("statusCode : " + response.code());
                    System.out.println("groupId : " + body.getGroupId());
                    System.out.println("messageId : " + body.getMessageId());
                    System.out.println("to : " + body.getTo());
                    System.out.println("from : " + body.getFrom());
                    System.out.println("type : " + body.getType());
                    System.out.println("statusCode : " + body.getStatusCode());
                    System.out.println("statusMessage : " + body.getStatusMessage());
                    System.out.println("customFields : " + body.getCustomFields());

로컬에서 돌려 실험해봤는데 해당 정보들에는 문제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무중단 서비스를 돌리고 있었기 때문에 nohup.out 파일을 서버에 접속해 로그를 확인해봤다.

 

api 요청의 응답은 api 요청이 성공했다고 오고있었지만 위 파일에서 로그를 보니 문자 전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고있었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슬랙과 연동된 웹훅으로 에러 메시지를 받고있는데 해당 에러 로그는 웹훅 메시지가 오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제일 마지막에 확인하게 된건데 아마 가끔씩 웹훅이 바로 안뜨고 엄청 늦게 연기되다 올때가 있는데 그런 케이스였던 것 같다..

12:31:01.726 ERROR [File:SolapiMessageSender.java] [Func:onResponse] [Line:40] [Message:{"errorCode":"Unauthorized","errorMessage":"권한이 없습니다."}]
12:38
java.io.FileNotFoundException: 파일경로임당 파일명임당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당 로그를 통해 문자 전송에 필요한 특정 파일이 존재하지 않고있다는 걸 알게됐다.

해당 파일은 키값과 같은 중요한 값들이 담긴 파일이었다.

빌드 파일만 서버로 옮겨 서버에서 돌리면 문자가 안오고 있었는데 빌드할 때 프로젝트 내에 해당 파일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이와 상관없이 운영중인 서버에 해당 파일이 특정한 위치에 존재해야지만 문자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였다. 

 

배포 중인 서버에서 문자가 가고있던 건 이전 개발자분이 서버의 관련된 위치에 파일을 넣어두셨었다!

운영 중인 서버의 개발 서버 관련 폴더에 접근해 해당 파일을 정해진 경로에 위치시킨 후 다시 api를 실행해보니 정상작동됐다.

 

필자는 주로 키값을 다룰 때 프로젝트 내에 파일을 위치시키고 깃에서 제외시킨 후 빌드만 해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전 개발자분은 프로젝트 빌드와 상관없는 위치에 따로 키값 정보가 담긴 파일을 위치시키고 해당 파일의 경로를 통해 값을 가져오는 방식을 사용하신 것 같다. 

이런 방법은 생각해본 없었는데 서버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열어봐야지만 키값을 확인할 수 있기때문에 조금 더 신경써야되는 부분이 많지만 유출에 있어서 더 안전한 방법인 것 같다!

아래와 같은 443 포트 서버 블록의 root와 index 값을 지정하고 index 파일을 띄우려고 했는데 계속 404 에러가 떴다.

다른 서버 블록들에서는 다 잘 적용됐는데 443 포트를 바라보고 있는 서버 블록만 계속 index가 적용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server {
        # SSL configuration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ipv6only=on;
        server_name 도메인명;
        root 루트폴더경로;
        index i.html;

        ssl_certificate 키경로;
        ssl_certificate_key 키경로;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ssl_protocols TLSv1 TLSv1.1 TLSv1.2;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포트번호;
                proxy_read_timeout 6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
}

 

구글링을 통해 443 포트 서버 블록의 location = / {} 블록을 통해  root와 index를 다시 지정한 후  해당 도메인명 주소로 들어올 때만 지정된 html 파일을 띄우려고 했는데 계속 404 에러가 발생했다.

다른 서버 블록들에선 다 정상 작동하는데 해당 블록에서만 발생한 문제로 구글링을 통해 계속 여러 방식들을 적용해봤지만 404 에러가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히 root 대신 alias를 사용한 코드를 보게 됐고 해당 문법을 활용해 404 에러를 해결했다.

root는 상대 경로를 사용하고 alias는 절대경로를 사용하는데 alias를 사용했을 때 404 에러가 사라진 걸 보니 기본으로 설정된 상대 경로에서 다시 동일한 위치 상대 경로로 접근을 하려고 해서 잘못된 주소로 접근을 했던게아닌가싶다.

 

server {
        # SSL configuration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 ipv6only=on;
        server_name 도메인명;
        root 루트폴더경로;
        index i.html;

        ssl_certificate 키경로;
        ssl_certificate_key 키경로;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ssl_protocols TLSv1 TLSv1.1 TLSv1.2;
 		location = / {
             default_type "text/html"; //해당 코드가 없으면 html이 띄워지지 않고 다운된다고 한다.
             alias 루트폴더경로;
             index i.html;
        }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포트번호;
                proxy_read_timeout 6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
}

해당 코드를 통해 404 에러를 없애는 것 까지는 성공했는데 이후 403 에러가 발생했다.

 

관련해서 다시 구글링도 해보고 nginx 에러 로그도 들어가서 보니 권한 문제라고 한다.

해결법을 찾아보니 권한을 가진 nginx 설정 파일의 사용자와 html 파일의 사용자가 동일한지 체크해야하고 그래도 안되면 권한 설정 명령어를 통해 해당 root 폴더의 권한을 변경해줘야한다고 돼있었다. 권한 설정을 바꾸는 건 보안상 좋은 해결법은 아닌 것 같다.

 

띄우고자 하는 html 파일 경로에 들어가서 아래 명령어를 치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와 권한 허용영역을 알 수 있다.

ls -al

사용자의 이름이 ubuntu임을 확인한 후 nginx 설정 파일에서 사용자 권한을 찾아봤다.

cd /etc/nginx
vi nginx.conf

해당 설정 파일의 첫줄에 user 사용자명;이라고  적힌 부분을 통해 권한이 있는 사용자명을 확인할 수 있는데 html 파일 권한자의 이름과 일치 하지 않았다.

nginx.conf 파일에서 사용자명을 html 파일의 사용자명으로 바꾼후 저장을 하고 nginx를 재시작하면 해결된다고 한다.

다른 서버 블록들은 알아서 잘 띄어지던데 해당 서버 블록만 왜 적용이 안됐던 건지 nginx 설정에 관해 더 공부를 해보면 좋을 것 같다.

 

참고 사이트

https://mik-a.com/m/88

https://ganbarujoy.tistory.com/113

https://bing-su-b.tistory.com/7

로컬 커맨드 창에서 스프링 프로젝트 빌드 시 발생한 오류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jdk가 8버전인데 자바 버전과 롬복 버전이 호환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고한다.

이전에는 빌드가 잘 됐었는데 이틀 전에 깃 공부를 하면서 로컬 커맨드 창에서 새로 프로그램을 깔고 업데이트 작업을 좀 했는데 그때 롬복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발생한 문제 같다.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기존 build.gradle

dependencie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수정한 build.gradle

dependencie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1.18.20'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1.18.20'
}

버전을 직접 명시해줬다.

 

참고 사이트

https://jin2rang.tistory.com/entry/javalangIllegalAccessError-class-lombokjavacaptLombokProcessor-in-unnamed-module-0x2fbb01ba-cannot-access-class-comsuntoolsjavacprocessingJavacProcessingEnvironment-in-module-jdkcompiler

 

스프링 부트 data jpa를 활용해 게시물 단건 조회 API를 만들던 중 발생한 에러다.

에러 메세지를 살펴보니 무한 재귀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양방향 다대다 관계를 일대다 다대일로 찢어서 연관관계 매핑을 한 칼럼이 있었는데 해당 객체를 response로 반환할 시

서로를 참조하며 무한 재귀 함수가 실행되는 문제였다.

 

@ManyToOne 칼럼에 @JsonIgnore 애노테이션을 추가해서 해결했다.

예시 코드는 아래와 같다.

    @JsonIgnor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board_idx")
    private Board board;

   
    @JsonIgnor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tack_idx")
    private TechStack techStack;

 

참고사이트 

https://thalals.tistory.com/227

https://cupeanimus.tistory.com/57

 

계속 널값이 뜬다고 오류가 뜨길래 코드에 문제가 있어서 정보를 못 읽어오는 줄 알고 삽질한 오류이다.

이후에 다시 생각해보니 객체 생성관련 문제인 것 같았다.

 

이전에 jdbc를 사용할 때와 달리 jpa는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해당 DTO 클래스에서 다른 객체의 서비스단,레포지토리단 코드를 활용해 다른 객체의 정보를 가져오는 코드들이 있었다.

생각해보니 다른 객체는 생성이 안된 상태이므로 객체 자체가 null이라 널포인터 에러가 뜨는 것 같았다. 그래서 DTO 클래스에 직접 해당 객체들을 주입해서 디버깅을 하려고 했는데 그러면 더이상 DTO가 아니라 서비스 클래스가 되는 문제가 생겼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생각하다가 문제가 되는 다른 서비스단이나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는 코드들을 다 서비스단으로 옮겼다.

그리고 서비스에서 해당 코드를 통해 받은 값들을 파라미터에 넣어 DTO 생성자를 통해 값을 넣어줬다.

이 방식을 통해 에러를 디버깅할 수 있었다.

 

관련된 내가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DTO

package backend.whereIsMyTeam.board.dto;

import backend.whereIsMyTeam.board.domain.*;
import backend.whereIsMyTeam.board.repository.CommentRepository;
import backend.whereIsMyTeam.board.repository.PostLikeCustomRepository;
import backend.whereIsMyTeam.board.repository.PostLikeCustomRepositoryImpl;
import backend.whereIsMyTeam.board.service.PostLikeService;
import com.fasterxml.jackson.annotation.JsonFormat;
import com.fasterxml.jackson.annotation.JsonIgnoreProperties;
import lombok.*;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Data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GetBoardResponseDto {

    private Long boardIdx;
    private String category; //프로젝트, 스터디, 대회 중 1
   // @JsonFormat
    List<TechStackBoard> stackList= new ArrayList<>();; //모집하는 스택 기술들 리스트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postDetailDto detail;
    private String postText;
    private List<BoardStatus> boardStatus=new ArrayList<>(); //게시물 상태(삭제,임시저장,모집중,모집완료)
    private postUserDto writer; //게시물 작성자 정보
    @JsonFormat(shape = JsonFormat.Shape.STRING, pattern = "yyyy-MM-dd'T'HH:mm:ss", timezone = "Asia/Seoul")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private Long watch;
    private Long heart; //찜 총 수
    private String isHeart; //해당 유저가 찜 눌렀는지 안눌렀는지
    private List<postCommentDto> commentList= new ArrayList<>();; //댓글 부분 작성자 인덱스와 comment 인덱스도


    public GetBoardResponseDto(Board post,Long heart, String isHeart,List<postCommentDto> c){
        this.boardIdx=post.getBoardIdx();
        this.category=post.getCategory().getCategoryName();
        this.title=post.getTitle();
        this.detail=new postDetailDto(post);
        this.postText=post.getContent();
        this.boardStatus=post.getBoardStatuses();
        this.writer= new postUserDto(post.getWriter()); //userImg 구현중
        this.createdAt=post.getCreateAt();
        this.watch=post.getCnt();
        this.heart=heart;
        this.isHeart=isHeart;
        this.commentList=c;
    }

    public GetBoardResponseDto(Board post,Long heart,List<postCommentDto> c){
        this.boardIdx=post.getBoardIdx();
        this.category=post.getCategory().getCategoryName();
        this.title=post.getTitle();
        this.detail=new postDetailDto(post);
        this.postText=post.getContent();
        this.boardStatus=post.getBoardStatuses();
        this.writer= new postUserDto(post.getWriter()); //userImg 구현중
        this.createdAt=post.getCreateAt();
        this.watch=post.getCnt();
        this.heart=heart;
        this.isHeart="not exist";
        this.commentList=c;
    }


}

 

/**
     * 게시물 단건 조회
     * @return GetBoardResponseDto
     */
    @Transactional
    public GetBoardResponseDto boardDetail(Long boardIdx,Long userIdx) {
        Optional<Board> optional = boardRepository.findByBoardIdx(boardIdx);
        if(optional.isPresent()) {
            Board board = optional.get();
            //방문자 수 1 증가
            board.setHitCnt(board.getHitCnt() + 1);
            boardRepository.save(board);
            //조회 로직 회원,비회원 구분 해야함
            if(userIdx!=0) { //회원
                long heart=postLikeRepository.findPostLikeNum(boardIdx);
                String isHeart=postLikeService.checkPushedLikeString(userIdx,boardIdx);
                List<postCommentDto> commentList=postCommentDto.toDtoList(commentRepository.findAllWithUserAndParentByBoardIdxOrderByParentIdxAscNullsFirstCommentIdxAsc(boardIdx));
                return new GetBoardResponseDto(boardRepository.findByBoardIdx(boardIdx).orElseThrow(BoardNotExistException::new),heart,isHeart,commentList);
            }
            else{ //비회원
                long heart=postLikeRepository.findPostLikeNum(boardIdx);
                List<postCommentDto> commentList=postCommentDto.toDtoList(commentRepository.findAllWithUserAndParentByBoardIdxOrderByParentIdxAscNullsFirstCommentIdxAsc(boardIdx));

                return new GetBoardResponseDto(boardRepository.findByBoardIdx(boardIdx).orElseThrow(BoardNotExistException::new),heart,commentList);
            }

        }
        else {
            throw new NullPointerException();
        }
    }

+ Recent posts